1 분 소요

  • 알고리즘 계산 복잡도는 다음 두 가지 척도로 표현될 수 있음
    - 시간 복잡도: 얼마나 빠르게 실행되는지
    - 공간 복잡도: 얼마나 많은 저장 공간이 필요한지

좋은 알고리즘은 실행 시간도 짧고, 저장 공간도 적게 쓰는 알고리즘

  • 통상 둘 다를 만족시키기는 어려움
    - 시간과 공간은 반비례적 경향이 있음
    - 최근 대용량 시스템이 보편화되면서, 공간 복잡도보다는 시간 복잡도가 우선
    - 그래서! 알고리즘은 시간 복잡도가 중심

  • 공간 복잡도 대략적인 계산은 필요함
    - 기존 알고리즘 문제는 예전에 공간 복잡도도 고려되어야할 때 만들어진 경우가 많음
    - 그래서 기존 알고리즘 문제에 시간 복잡도뿐만 아니라, 공간 복잡도 제약 사항이 있는 경우가 있음
    - 또한, 기존 알고리즘 문제에 영향을 받아서, 면접시에도 공간 복잡도를 묻는 경우도 있음

  • Complexity:
    - expected worst-case time complexity: $O(N)$
    - expected worst-case space complexity: $O(N)$

현업에서 최근 빅데이터를 다룰 때는 저장 공간을 고려해서 구현을 하는 경우도 있음

1. 공간 복잡도 (Space Complexity)

  • 프로그램을 실행 및 완료하는데 필요한 저장공간의 양을 뜻함
  • 총 필요 저장 공간
    - 고정 공간 (알고리즘과 무관한 공간): 코드 저장 공간, 단순 변수 및 상수
    - 가변 공간 (알고리즘 실행과 관련있는 공간): 실행 중 동적으로 필요한 공간
    - $S(P)=c+S_p(n)$
    - $c$: 고정 공간
    - $S_p(n)$ : 가변 공간

빅 오 표기법을 생각해볼 때, 고정 공간은 상수이므로 공간 복잡도는 가변 공간예 좌우됨

2. 공간 복잡도 계산

  • 공간 복잡도 계산은 알고리즘에서 실제 사용되는 저장 공간을 계산하면 됨
    - 이를 빅 오 표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으면 됨

공간 복잡도 예제 1

  • n! 팩토리얼 구하기
    - n! = 1 x 2 x … x n
  • n의 값에 상관없이 변수 n, 변수 res, 변수 i 만 필요함
  • 공간 복잡도는 $O(1)$

공간 복잡도 계산은 실제 알고리즘 실행시 사용되는 저장공간을 계산하면 됨

def factorial(n):
    res = 1
    for i in range(2, n+1):
        res *= i
    return res

n의 값에 상관없이 총 3개의 변수가 필요하고,
3은 상수니까 공간 복잡도는 $O(1)$ 이 된다.

공간 복잡도 예제 2

  • n! 팩토리얼 구하기
    - n! = 1 x 2 x … x n
  • 재귀함수를 사용하였으므로, n에 따라, 변수 n이 n개가 만들어지게 됨
    - factorial 함수를 재귀 함수로 1까지 호출하였을 경우, n부터 1까지 스택에 쌓이게 됨
  • 공간 복잡도는 $O(n)$
def factorial(n):
    if n > 1:
        return n * factorial(n - 1)
    else:
        return 1

factorial() 함수를 총 “n번” 호출하는데,
한 번 호출할 때마다 n 이라는 변수가 “1개” 생기니까
총 n (= n*1)개의 변수가 생성되는 것이고, 공간 복잡도는 $O(n)$ 이 된다.



💛 개인 공부 기록용 블로그입니다. 👻

맨 위로 이동하기